AI산업

셀바스AI, AI 음성인식 솔루션으로 시장확대 기대감...클라우드 서비스로 만족도 높여

AI타임스 2021. 11. 30. 17:44

의료 음성인식 솔루션, 의학용어 98% 이상 인식
초기 도입 비용 적은 클라우드 버전으로 적용 용이
국내 대형병원과 중소형병원에서 사용
의사 1명당 평균 의무기록지 작성 시간 월 500분 단축

 

​셀바스AI가 자사의 AI 의료 음성인식 솔루션 '셀비 메디보이사'가 의료 현장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출처=셀바스AI) 

 

셀바스AI가 인공지능(AI) 음성인식 솔루션 '셀비 메디보이스(Selvy Medi Voice)' 적용 확대를 기대했다. 셀바스AI는 29일 의료 현장에서 셀비 메디보이스가 호평을 받고 있다며 시장 확대 적용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셀비 메디보이스는 AI 음성인식 기반의 국내 최초 AI 의료 음성인식 솔루션이다.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등 분과별 의학용어를 학습해 98% 이상의 높은 인식 성능을 자랑한다.

 

셀바스AI 관계자는 "분과별 의학용어를 학습해 높은 인식율을 자랑하는 셀비 메디보이스가 현장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며 "클라우드 사이트를 통해 가격 부담 없이 즉시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셀비 메디보이스에 대한 적용범위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 셀비 메디보이스는 


셀비 메디보이스는 국내 영상의학과에서 주로 사용된다. 영상의학과에서 CT나 MRI 촬영을 판독할 때 의료진은 녹음한 내용을 다시 듣고 해석해야 한다. 판독할 부분도 많아 보통 시간이 일주일 이상 걸리기 마련이다. 셀비 메디보이스는 이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AI 학습을 통해 정확한 음성인식뿐 아니라 데이터를 차트로 만들어 제공한다.

 

# 셀비 메디보이스 도입 효과는


셀바스AI 측은 셀비 메디보이스를 사용하면서 의사 1명당 평균 의무기록지 작성 시간을 월 500분 단축시킬 수 있었다.고 밝혔다.

 

# 사용은 어떻게


셀비 메디보이스는 병원 환경 및 니즈에 따라 구축형과 클라우드 서비스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초기 도입 비용에 대한 부담이 없이 월정액으로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중소형병원 영상의학과 의료진들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 실제 사용 후기


셀비 메디보이스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 중인 전주 대자인병원 영상의학과 전문의는 "약 1년 간 셀비 메디보이스 클라우드 서비스를 꾸준히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영상 판독 업무의 90% 이상을 셀비 메디보이스로 대체하고 있다"며 "셀비 메디보이스 이용 후 의무기록 입력 속도가 향상되어 1일 판독량이 기존 대비 1.5배 이상 늘어나 업무 효율이 높아졌다"고 전했다.

 

또 "특히 의학용어의 경우 영어, 한국어 구분 없이 혼용 사용이 많지만 읽은 판독 내용이 오타 없이 자동 인식되는 과정을 바로 눈으로 볼 수 있으며, MRI, CT 등 촬영 영상 데이터에서 눈을 떼지 않고 한 번에 판독할 수 있는 점도 매우 편리하다"면서 "현재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료 대비 만족도가 높아 다른 영상의학과 의료진들에게도 추천 중"이라고 말했다.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업체는 어디


현재 셀비 메디보이스는 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수술실과 회진경과 기록지, 제주대병원 영상의학과, 한양대병원 영상/핵의학과, 국립병원(충남대, 충북대, 강원대, 전북대 병원) 영상의학과 등 국내 대형병원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영등포CM(충무)병원, 대경영상의학과, 대구 나사렛종합병원 등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버전을 사용 중이다.

 

AI타임스 김동원 기자 goodtuna@aitimes.com

 

Copyright © '인공지능 전문미디어' AI타임스 (http://www.aitim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셀바스AI, AI 음성인식 솔루션으로 시장확대 기대감...클라우드 서비스로 만족도 높여 - AI타임스

셀바스AI가 인공지능(AI) 음성인식 솔루션 \'셀비 메디보이스(Selvy Medi Voice)\' 적용 확대를 기대했다. 셀바스AI는 29일 의료 현장에서 셀비 메디보이스가 호평을 받고 있다며 시장 확대 적용이 예상

www.ai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