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눈 뜨고 코 베이징' 조롱
올림픽 화합정신·공정성 살리려면 '인공지능 심판' 도입 바람직
특정 국가 및 단체 영향 받지 않는 신뢰성 있는 AI 기술 요구돼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중국의 편파판정이 잇따라 발생하는 가운데 공정한 경기를 치르기 위해 '인공지능(AI) 심판'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7일 열린 쇼트트랙 남자 1,000m 준결승 경기에서 황대헌과 이준서 선수가 조 1·2위로 결승선을 통과했지만 의문의 판정으로 실격처리를 당하고 중국 선수 2명이 결승에 진출했다.
뿐만 아니라 일본과 독일 등 다른 6개국도 석연치 않은 판정으로 인해 금메달의 꿈이 좌절됐다. 이에 따라 스포츠 정신을 훼손시키지 않기 위해 앞으로는 보다 더 공정한 판정을 위한 'AI 심판'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세계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외신들도 등돌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경기에서 편파판정으로 인해 세계 주요 외신들도 이를 비판했다. 미국의 일간지인 '월스트리트저널'은 "쇼트트랙 레이스가 끝났지만 어떤 선수도 기뻐하거나 낙담을 하지 않는다"며 불쾌함을 나타냈다. 또 '뉴욕타임스'는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이 남자 1,000m 준결승에서 실격처리된 사건에 대해 "쇼트트랙은 신체 접촉이 일부 허용되고 종종 넘어지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많은 실격이 발생한다"며 "하지만 이번 올림픽에서 철저한 조사를 요구하는 이유는 논란의 여지가 많은 경기 메달 대부분이 개최국인 중국에 돌아갔기 때문이다"고 비난했다.
온라인 여론도 분노를 감추지 못했다. 일본 최대 커뮤니티 사이트인 야후재팬에서는 스키점프 남녀 혼성 단체전에 참가한 '다카나시 사라'가 유니폼이 2cm 크다는 이유로 실격된 내용을 놓고 네티즌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이들은 "이상할 정도로 실격자가 발생한 이유를 주최 측이 밝혀야 한다"는 주장을 강하게 제기했다.
스포츠 정신 지키기 위해 AI 심판 도입해야
스포츠에서 잊을만 하면 한번씩 튀어나오는 오심 논란과 편파판정은 승패를 떠나 많은 사람들에게 상처를 남기는 경우가 많다. '판정과 오심도 경기의 일부'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이번 올림픽처럼 '뻔히 보이는 수'에 당한다면 당사자에게는 전혀 와닿지 않을 것이다.
특정 집단의 회유와 협박, 감정을 물리치고 양심을 지킬 수 있는 심판이 없다면 AI로 대체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감정의 개입으로 공정성을 잃는 오심을 하지 않기 위함이다. 실제로 스포츠에는 이미 많은 첨단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고 많은 경기에서 1만 분의 1초, 0.1mm가 결과를 가름짓는 일들이 쏟아지고 있다.
이미 우리에게 익숙한 초고속 카메라는 속도 경기에 도입되면서 초당 20만 프레임을 찍어내기도 하고 야구와 축구 경기에는 공정한 판정을 위해 여러 각도에서 찍은 비디오 판독을 공식 규정으로 넣기도 한다. 당연히 논란이 되는 판정에 대해서도 기술적인 도움이 따르고 있다. 체조나 피겨 스케이트 경기처럼 동작을 분석하고, 해당 기술에 대해 점수와 감점을 판단하는 평가는 사실 인공지능으로 충분히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분야다. 사람의 관절을 실시간으로 읽어내는 기술은 이미 오래 전부터 쓰여 왔다.
최종적으로 '누가 판단하느냐'가 과제
AI 심판 도입은 편파판정과 오심에 대한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는 적절한 도구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최종적으로 '누가 판단하느냐'다. 결국 AI를 활용해도 인간이 결정할 수밖에 없다. AI 심판이 개최국의 손에 닿게 된다면 이는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기는 격'이나 다름 없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IOC에서 전문인력을 늘리고 AI와 외부의 접촉이 엄격하게 통제되는 등 해킹과 같은 위협에 대비한 시스템을 갖출 필요성도 요구된다.
사실 이번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는 스키점프 등 일부 종목에 심판이 판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AI 기술이 도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기술이 어느정도 사용되고 있는지는 자세히 공개된 바 없다. 하지만 이번에 적용된 기술도 의미가 없는것으로 보인다. 이 AI 기술의 역할은 그저 참고용일 뿐이지 판단은 사람이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중국 기업인 '바이두'에서 만든 인공지능이라서 '인민의 손'을 들어주는 데 특화됐을 것이라는 합리적인 의심을 할 수밖에 없다.
AI타임스 나호정 기자 hojeong9983@daum.net
Copyright © '인공지능 전문미디어' AI타임스 (http://www.aitim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금융 혁명의 거대한 물결...AI가 은행의 높은 문턱 낮춘다 (0) | 2022.02.14 |
---|---|
스위스 연구진, 가상인간 쉽게 만들 수 있는 새로운 AI 알고리즘 개발 (0) | 2022.02.11 |
'베이징 동계올림픽' 로봇들 맹활약했으나 코로나에는 역부족 (0) | 2022.02.09 |
미 국방부, 민간 부문과 협력...AI·5G·사이버 보안 등에 투자 강화 (0) | 2022.02.08 |
구글, 제한된 데이터셋으로 새 임무 '척척'하는 로봇 연구 성과 발표 (0) | 2022.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