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 'NEMO 2022', 온·오프라인 10일 개최
확장된 모빌리티 기술 산업과 미래 비전 다뤄
류긍선 대표, '이동의 다음' 구현 청사진 발표
유승일 CTO, "'디지털 트윈'이 올해 핵심축"
카카오모빌리티(대표 류긍선)가 회사가 계획하고 있는 미래 모빌리티 사업 전망을 소개했다. 모빌리티가 가진 이동과 운송 개념을 넘어 차량을 생산적인 활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혁신하겠다고 밝혔다. 도심항공교통(UAM) 등 새로운 모빌리티 기술 공개 성과도 선보이겠다고 전했다.
카카오모빌리티가는 10일 회사 처음으로 테크 컨퍼런스를 서울 코엑스와 온라인에서 개최했다. 'NEXT MOBILITY: NEMO 2022'란 이름으로 열린 이번 행사에서는 확장된 모빌리티 기술 산업과 미래 비전에 대한 논의가 오갔다. 기술 세션은 ▲혁신기술과 만나다 ▲기술로 일상을 바꾸다 ▲새로운 세상을 만나다 등을 주제로 16개 발표가 진행됐다. 국내외 모빌리티 기업도 참여해 새로운 모빌리티 패러다임에 대해 논의하는 장도 가졌다.
국내 모빌리티 분야에 힘쓰는 주요 대기업 LG, 삼성전자, GS리테일 등이 참여했다. 우아한형제들, 오토노머스에이투지, 토르드라이브, 번개장터 등 국내 대표 모빌리티 플랫폼·기술 스타트업도 자리했다. 미국 자율주행 기업 오로라(Aurora), 독일 UAM 기업 볼로콥터(Volocopter) 등 해외 기업도 참여해 새로운 모빌리티 패러다임을 소개했다. 행사장에는 참가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실제 모빌리티 기술을 직접 볼 수 있는 전시관도 별도로 마련했다.
주요 연사, 어떤 내용 다뤘나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이동의 다음(Next Mobility)' 구현에 대한 비전을 소개했다. 이동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찾고 자율주행 기술로 차량을 생산적인 활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혁신하겠다고 했다. 이동 경험의 질을 높이겠다는 설명이다. 또 UAM 같은 새로운 모빌리티 수단으로 이동 방법을 지상에서 상공까지 확장해 이동 시간도 단축하겠다는 방침이다.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기술책임자(CTO)는 기계-시스템-인프라에 3차원 공간 정보와 경로계획을 알리는 디지털 트윈 구축에 대해 발표했다. 유승일 CTO는 "AI 기반 스마트 시티, AI 운송 관리 시스템 등 다양한 인프라가 모빌리티 생태계로 빠르게 편입되고 있다”며 “인지 능력을 갖춘 기술을 모빌리티에 탑재하겠다"고 밝혔다.
크리스 엄슨 오로라 최고경영자(CEO)는 자율주행 기술이 가져오는 사회적 효용가치를 소개했다. 도로 위 안전성을 비롯 ▲교통약자 접근성 ▲물류 공급망 효율성 ▲삶의 질 모두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자율주행 기술이 전 세계에 확산하기 위해서는 인재, 파트너, 기술, 상용화 방향이 핵심이라고도 했다. 플로리안 로이터 볼로콥터 CEO는 자사 기체 개발 현황과 UAM 기술 미래 비전을 소개했다. 카카오모빌리티와 협업해 서울에서 진행한 UAM 실승 연구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라고도 전했다.
박일평 LG 사이언스파크 대표는 LG 그룹이 연구 중인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다뤘다. 전기차, 커넥티드카를 미래 모빌리티 혁신 주요 키워드로 꼽았다. 모빌리티 산업의 미래로 ‘경험으로서의 모빌리티(Mobility as Experience)’에 주목했다. LG전자 미래 비전인 'LG옴니팟'도 소개했다.
행사장에는 모빌리티 전시관도 운영했다. 카카오모빌리티 자체 기술로 구현한 자율주행차를 비롯 LG 미래 자율주행차 컨셉모델 'LG 옴니팟(LG OMNIPOD)', 시공간 동기화 기술로 디지털 트윈을 만드는 '실내외 모바일 맵핑 시스템(MMS)', 모빌리티 관련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시각화한 '모빌리티 아틀라스'가 전시됐다.
AI타임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Copyright © '인공지능 전문미디어' AI타임스 (http://www.aitim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 EU에 페이스북·인스타그램 폐쇄 경고…데이터 유출 규제 반발 (0) | 2022.02.12 |
---|---|
알파아이씨, 에지 AI용 '글루온' 칩 양산 준비...엔비디아 젯슨보다 성능 우위 (0) | 2022.02.11 |
조성환 현대모비스 대표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 SW·반도체가 좌우" (0) | 2022.02.11 |
4년 전 한류 성공 예견한 사회학자, "K-콘텐츠의 미래 희망은 몰입기술과 뉴트로에 있다" (0) | 2022.02.11 |
엔비디아, Arm 인수 철회...규제기관 독점 우려에 '백기 투항' (0) | 2022.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