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산업 350

[GTC 2022] KT, GPT-3 뛰어넘는 언어모델 만든다

GTC 2022에서 새로운 초거대 AI 언어모델 기능 공개 인코더와 디코더 모두 갖춘 '인코더-디코더 아키텍처' 인간과 자연스러운 소통 추구, 언어이해와 생성 가능 "300억 개 파라미터로 학습 중, 2000억 개로 늘릴 것" KT가 기존 언어모델을 뛰어넘는 새로운 초거대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마트 스피커, 콜센터, 로보틱스 등 다양한 분야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만큼 차별화된 언어모델이 필요한 까닭이다. KT가 개발하고 있는 언어모델은 구글 '버트(BERT)'와 오픈AI의 'GPT-3'의 개량된 버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영경 KT 연구원은 24일 세계 최대 AI 개발자 컨퍼런스로 불리는 엔비디아 GTC 2022에서 KT가 개발 중인 차세대 언어모델을 공개했다. 서..

AI산업 2022.03.25

[GTC 2022] 노타 "엔비디아 옴니버스, ITS에 최적화"

'디지털 트윈과 더 스마트한 인프라' 주제 발표 노타, AI로 ITS 기술 데이터 수집·시뮬레이션 날씨·교통 상황·사고 관련 데이터 수집 한계 "엔비디아 옴니버스로 데이터 수집 한계 보완" 국내 교통 시스템이 더욱 똑똑해질 전망이다. 국내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노타(NOTA)가 엔비디아 옴니버스(NVIDIA Omniverse)를 사용해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기술을 업그레이드했다. 노타는 25일(한국시간) 열린 GTC 2022에서 '디지털 트윈과 함께 더 스마트해진 인프라'를 주제로 발표했다. 발표에 나선 김태호 노타 책임연구원(CTO)는 노타가 보유한 ITS 기술 분야를 소개했다. 김태호 CTO는 "ITS용 데이터 수집에는 한계가 있다"며 "엔비디어 옴니버스를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다"고 강..

AI산업 2022.03.25

나사, 달에 사람 상주하는 기지 건설한다...선정 기업은?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확대...두 번째 기업 모집 "2026~2027에 달에 착륙선 보낼 미국 기업" 첫 기업 '스페이스X'...지나친 계약금으로 뭇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달에 지속가능한 유인 기지를 2024년부터 건설하는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그램’을 확대 추진할 방침이다. 현재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할 두 번째 기업을 모집 중이다. 첫 번째 기업으로는 작년 '스페이스X'가 선정됐다. 블루 오리진(Blue Origin), 보잉(Boing)과 치열한 경쟁 끝에 달 착륙 허가권을 얻었다. 그러나 나사 측은 스페이스X에 지원한 지나친 계약금으로 관련 업계와 미국 정부로부터 거센 비난을 받았다. 나사는 2026년~2027년에 스페이스X 다음으로 달에 착륙선을 보낼 기업을 모집한다고 23일(현지시..

AI산업 2022.03.25

데이터뱅크-세종대, 영어 레벨테스트 AI 채점기 도입에 맞손

토플 모든 영역 AI가 평가...1분 내로 채점해 영어 말하기·쓰기를 AI가 채점하는 세계 첫 플랫폼 올해만 국내 20개 대학과 업무 협약 진행 인공지능(AI) 기반 글로벌 토플 학습 서비스 '테스트글라이더(TestGlider)’를 운영하는 데이터뱅크와 세종대가 이달 18일 손잡았다. 세종대 재학생 토플 테스트에 AI 채점 서비스 도입을 위해서다. 테스트글라이더(TestGlider)는 말하기와 쓰기가 포함된 토플 모든 영역을 AI로 평가해 1분 내로 채점 결과를 보여주는 플랫폼이다. 세종대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교환학생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테스트글라이더(TestGlider)를 활용해 사교육비 부담 없이 토플 성적 향상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연 2회 제출해야 하는 토플 성적을 테스트글라이더 토플 모의평가..

AI산업 2022.03.25

[GTC 2022] BMW, 가상 공장용 오픈소스 이미지 데이터셋 'SORDI' 공개

SORDI, 가상 공장 데이터셋...규모 세계 1위 이미지 데이터 80만개...객체 종류 80개 BMW, "25일 GTC 2022에서 소개 예정" 옴니버스서 AI 이미지 인식 업그레이드 BMW그룹이 가상 공장에서 사용할 이미지 데이터셋을 23일(독일 현지시간) 공식 홈페이지에서 공개했다. 오픈 소스형이며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다. 해당 데이터셋은 GTC 2022에서 25일(미국 현지시간) 처음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BMW가 이번에 공개할 합성 객체 인식 데이터셋 ‘솔디(SORDI, Synthetic Object Recognition Dataset for Industries)’는 인공지능(AI)이 쓸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만 80만 개가 넘는다. 자동차 엔지니어링을 비롯한 물류 핵심 기술과 관련한 객체..

AI산업 2022.03.25

[GTC 2022] 정석근 네이버 클로바 CIC 대표 "하이퍼클로바, AI 개발에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엔비디아 GTC 2022서 초거대 AI 방향성과 성과 소개 네이버, 초거대 AI에 필요한 인프라·데이터·인력 갖춰 하이퍼클로바 기술이 실제 서비스에 적용된 사례 공개 문구 작성·안부 전화 등에 탑재돼 사용자 만족도 높여 네이버가 초거대 인공지능(AI) 개발과 상용화에 우위에 있음을 전 세계에 알렸다. 네이버는 24일 세계 최대 AI 개발자 컨퍼런스로 불리는 엔비디아 GTC 2022에서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 기술의 방향성과 그동안의 성과를 발표했다. 연사로 나선 정석근 네이버 클로바 CIC 대표는 초거대 AI 운영에 있어 네이버가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 있다고 자신했다. 정석근 대표는 "하이퍼클로바는 AI 개발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며 "초거대 AI 운영에는 방대한 컴퓨팅 인프라와 데이터, ..

AI산업 2022.03.25

[GTC 2022] 에스아이에이 "탄소 배출량 측정, 위성영상과 딥러닝으로 가능"

탄소 배출량 정확하게 측정하는 딥러닝 모델 소개 위성이 수집한 탄소농도 데이터 AI가 분석해 제시 실측 기반 데이터로 기존 방식보다 정확도 높아 엔비디아 A100과 래피즈 가속 플랫폼 연구에 활용 "지역 규모 배출량 측정하는 알고리즘 개발할 것" AI기반의 위성·항공 영상 분석 플랫폼인 에스아이에이(SIA)가 탄소 배출량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 인공위성 영상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방법이다. 자체적으로 기술을 개발해 실험한 결과 기존 방법보다 더 정확하게 탄소 배출량을 측정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최예지 SIA 연구원은 24일 엔비디아(NVIDIA)가 주최한 GTC 2022 행사에서 '딥러닝 모델이 위성 데이터를 사용해 이산화탄소(CO2)를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AI산업 2022.03.24

LG, 글로벌 AI 향한 여정 시작했다...美 미시간주에 AI 연구 센터 설립

미국 미시간주 앤아버에 'LG AI 리서치 센터' 개소 첫 글로벌 AI 연구센터, 연구 협력·인재 확보 기대 학술적으로 가장 앞선 연구 지향...윤리 연구 병행 미시간대와 AI 연구 및 인재 확보 협력 방안 논의 북미 지역 기업과 초거대 AI 상용화 협력 확대 추진 "최고의 인재와 파트너들이 모여 세상의 난제에 마음껏 도전하면서 글로벌 인공지능(AI) 생태계의 중심으로 발전하도록 응원하고 힘을 보태겠다." 2020년 12월 LG AI연구원 출범 당시 구광모 LG 대표가 한 말이다. 그리고 약 1년 3개월이 지난 지금 LG가 글로벌 AI 생태계 선봉에 서기 위한 전초 기지를 신설했다. LG AI연구원은 22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 앤아버에 'LG AI 리서치 센터(LG AI Research Center..

AI산업 2022.03.24

하늘을 나는 오토바이…공상 과학의 꿈이 실현되다

세계 최초의 하늘을 나는 오토바이 상용화 수직 이착륙 하는 제트 구동 비행 오토바이 개발 군대, 응급서비스, 인명 구조 위한 고속 장거리 비행 AI기반의 전자 비행 제어 시스템에 의해 자동 제어 미래 공상 과학의 꿈인 하늘을 나는 오토바이가 실현된다.(영상=제트팩 항공) 하늘을 나는 오토바이가 등장했다. 미국 제트팩 항공(Jetpack Aviation)은 스피더(Speeder)라고 하는 비행 오토바이의 시험 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발표했다. 스피더는 소형 차량이 차지하는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이륙할 수 있는 완전 VTOL(수직 이착륙) 기술을 갖춘 자율 비행 차량으로 설계됐다. 스피더는 배터리와 전기 엔진으로 구동되는 대신 항공 연료로 동작하는 4개의 소형 제트 엔진을 사용한다. 전기로 구동하는 EVT..

AI산업 2022.03.24

한국 근로자 85% "디지털 미래, 준비되어 있지 않다"

AWS-알파베타, 국내 고용주·근로자 대상 설문조사 근로자 85% 디지털 역량 필요하지만 교육 못 받아 직원 디지털 역량 제대로 교육하는 기업은 단 25% 알파베타 "디지털 교육이 기업 생산성 증가에 영향" AWS "일반인과 전문인력 위한 다양한 교육 제공 중" 국내 근로자 85%가 디지털 역량 강화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액세스 파트너십(Access Partnership) 산하 전략·경제 컨설팅 기업 알파베타(AlphaBeta)가 아마존웹서비스(AWS) 의뢰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 디지털 근로자 1015명 중 85%는 "디지털 미래에 준비되어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반면 국내 기업 중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을 갖춘 곳은 단 2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AWS는 22일 기자간담회를 열..

AI산업 2022.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