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산업

레벨 4 자율주행차부터 세계 최초 자율주행 수소버스까지 ...신기술 꽉 들어찬 서울모빌리티쇼

AI타임스 2021. 12. 1. 10:08

'2021 서울모빌리티쇼', 25일부터 12월 5일까지 일산 킨텍스 개최
현대차 레벨 4단계 도약 이미 시작, KATECH는 세계 최초 수소버스 개발
라이다도 기존보다 인식 범위 넓혀...반도체 의존도 줄인 기술 선보여

 

2021 서울 모빌리티쇼. (사진=김미정 기자)

자동차에는 더 이상 모터만 달려 있지 않다. 눈 역할을 하는 레이더, 라이다, 카메라가 구석구석 탑재돼있다. 자동차 내부에는 전기나 수소로 달리기 위한 반도체와 새로운 부품이 들어찼다. 더 이상 자동차 전시회는 '모터쇼'가 아니다. 실제 올해부터 행사명도 '모빌리티쇼'로 변경됐다.

 

'2021 서울모빌리티쇼(전 서울모터쇼)'가 고양시 킨텍스에서 25일부터 다음 달 5일까지 11일간 열린다. 유명 브랜드 신차, 전기차가 눈길을 사로잡았지만,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갖춘 차량도 전시됐다. 하늘을 나는 플라잉카, 레벨 4수준의 자율주행차, 세계 최초로 선보이는 자율주행 수소버스 등 신기술을 접목한 차량이 눈에띄게 늘었다. 자율주행차량 눈이 돼주는 라이다나 레이더 등도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한층 향상된 성능을 선보였다. 

 

현대자동차 '아이오닉5(IONIQ5)' 레벨 4 전기 자율주행차, 눈이 31개 달렸다


현대차 '아이오닉5' 자율주행 레벨 4 차량. (사진=김미정 기자)

현대자동차가 전기 자율주행차 '아이오닉5'를 선보였다. 자율주행 4단계 차량이다. 자율주행 레벨 4 수준은 일정 구간에서 운전자 개입 없이 주행하는 단계다. 현대차 소개 담당자는 아이오닉5에 "라이다 5개, 레이다 12개, 카메라 14대로 총 31개가 탑재됐다"고 설명했다.

 

현대차 '아이오닉5' 자율주행 레벨 4 차량. (사진=김미정 기자/편집=조희연 기자)

상용화 시기 관련해서는 "아직 개발이 완전히 끝나진 않았다"며 "우선적으로 내년부터 연구와 도로 실증 시험을 동시에 진행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상용화는 아마 2024년 이후에나 이뤄질 것"이라고 귀띔했다. 그는 "그 시기에 연구 개발이 지금보다 높아지면, 운전대 없이 출시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현재 전시된 차량에는 운전대가 탑재돼있다.

 

한국자동차연구원(KATECH), 세계 최초로 자율주행 수소버스 개발


KATECH가 개발한 세계 최초 자율주행 수소버스. (사진=김미정 기자)

한국자동차연구원(KATECH)은 자율주행 수소버스를 선보였다. 자율주행에 수소 연료를 접목한 버스는 세계 최초다.

 

연구원 관계자는 "해당 버스는 전기버스 대비 1충전 주행거리가 약 2~3배 길다"며 "특히 장거리를 주행하는 순환형 노선버스에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한번 충전하면 종일 운행이 가능할 만큼 에너지 효율적이다.

 

자율주행 수소버스 전체 모습. (영상=김미정 기자)

장거리인 만큼 도중에 발생하는 긴급 상황은 어떻게 대처할 것이냐고 물었다. 갑작스럽게 긴급 정차가 필요하거나 경로를 바꿔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는 "센서 융합 알고리즘과 자율주행 제어 알고리즘을 탑재했다"며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도 해보고 야간 주행 시험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또 "긴급 상황 대비 관련한 실증 시험에 합격했으며, 지금은 임시 운행 허가를 획득한 상태"라고 말했다.

 

앞, 뒤, 옆으로 붙어있는 라이다 센서. (사진=김미정 기자/편집=조희연 기자)

마지막으로 관계자는 "자율주행 국내 기업인 오토노머스에이투지, 한양대, 카이스트 등과 협업해 개발했다"며 "이를 트럭, 소형버스 등에도 확대 중"이라고 밝혔다.

 

카이스트(KAIST) 플라잉카, "기체와 제어보드 우리가 직접 만들어"


KAIST 심현철 교수 연구팀이 제작한 플라잉카. (사진=김미정 기자)

자율주행으로 도로를 달리다가 하늘을 날 수 있는 '플라잉카'가 전시됐다. 카이스트 연구진이 이번 행사에 선보인 대표 자율주행 기술이다. 전체 길이는 약 2미터로 프로펠러를 펼치면 자율비행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인기 있었다.

 

부스에 있던 카이스트 전형석 연구원은 "우리가 자율 비행 기체 자체를 개발했다"며 "특히 연구실에서 직접 만든 비행 제어 보드도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토폴로지(topology) 최적화, 구조해석을 기반으로 한 섀스(Chassis)설계까지 접목했다"고도 했다. "이를 통해 무게를 줄임으로써 비행시간이나 시스템 안정성을 한층 더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다고 보면 된다"고 덧붙였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라이다(LiDAR)에 신기술 접목해 범위 넓혀


(왼쪽) 다채널 스캐닝 라이다와 (오른쪽) MEC 기반 AI LiDAR 지능형 관제 시스템.  (사진=김미정 기자)

5G MEC를 통한 인공지능 라이다 시스템 연구로 만든 기술이다. 저가형 FPGA으로 5G MEC 시스템 설계와 제작을 진행했다.

 

정한균 책임연구원은 "기존 지능형 관제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만들었다"고 밝혔다. "기존 지능형 관제 시스템은 CCTV 기반이어서 관제 범위가 충분치 않았다"며 "해당 부품으로 범위를 넓힐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해당 부품의 탐지 범위는 100m 이상이다. 낮과 밤, 실내외 상관없이 모두 동일하다. 객체도 동시에 50개 이상을 추적할 수 있다. 처리 속도는 1초당 10장 이상 처리가 가능한 10fps다. "통합 관제 범위가 커질수록 오히려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발생한다"며 "더 넓은 범위와 물리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분야 확장이 가능하다"고 그는 덧붙였다.

 

해당 제품은 이번 행사에 전시되지 않았다.

 

자율협력주행 지원 V2X  통신 플랫폼 부품. (사진=김미정 기자)

사진 속 부품은 자율협력주행 통신플랫폼에 사용할 수 있다. 차량과 인프라(V2I), 차량간(V2V) 통신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이를 통해 자율협력주행, C-ITS, 커넥티드카(Connected car)등에 활용이 가능하다. 관계자는 "상용화 수준의 기술 완성도를 갖춘 상태"라며 "통신 기술이나 칩 의존도를 최소화로 줄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AI타임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Copyright © '인공지능 전문미디어' AI타임스 (http://www.aitim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레벨 4 자율주행차부터 세계 최초 자율주행 수소버스까지 ...신기술 꽉 들어찬 서울모빌리티쇼 -

자동차에는 더 이상 모터만 달려 있지 않다. 눈 역할을 하는 레이더, 라이다, 카메라가 구석구석 탑재돼있다. 자동차 내부에는 전기나 수소로 달리기 위한 반도체와 새로운 부품이 들어찼다. 더

www.ai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