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산업

신테카바이오, AI가 발굴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병용 치료제 잠재력 입증

AI타임스 2021. 12. 7. 10:56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STB-C017' 동물실험 결과
완전 관해 유도 및 장기 생존 효과 향상 입증
면역학 분야 국제학술지 '온코이뮤놀로지'에 게재
신약 후보물질 AI 플랫폼 '딥매처'가 발굴

 

신테카바이오는 신약 후보물질 AI 플롯팸 '딥매처'가 발굴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이 동물실험 결과 효능이 입증됐다고 밝혔다. (출처=픽사베이, 편집=김동원 기자)

 

신테카바이오는 자사가 발굴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STB-C017'의 동물실험 결과가 효능이 입증됐다고 7일 밝혔다.

 

신테카바이오는 STB-017에 대해 동물실험을 진행한 결과 면역관문억제제 2종과 병용 투여 시 완전 관해를 유도하고, 장기 생존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STB-017은 신테카바이오의 신약 후보물질 인공지능(AI) 플랫폼 '딥매처(DeepMatcher)'가 발굴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이다.

 

전홍재 분당차병원 혈액종양내과 암센터장과 김찬 교수 연구팀은 '딥러닝 모델을 통한 키뉴레닌 경로를 조절하는 새로운 면역치료제 발굴'이라는 논문을  면역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 <온코이뮤놀로지> 온라인판에 게재했다.

 

이 논문은 신테카바이오가 '딥매처'를 통해 도출한 IDO(indoleamine 2,3-dioxygenase)와 TDO(tryptophan 2,3-dioxygenase) 이중저해제 STB-C017의 동물 약효평가 결과를 담았다. 

 

전홍재 암센터장과 김찬 교수팀은 "최근 신장암, 간암, 흑색종 등에서 표준 치료로 자리 잡기 시작한 옵디보와 여보이 면역관문억제제 병용 치료에 내성을 보이는 환자에서 내성을 극복하고, 치료 반응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무적 결과로 생각된다"고 평가했다.

 

#신테카바이오는 

 

AI와 바이오가 결합된 AI신약개발 플랫폼 업체다. 슈퍼컴퓨터 인프라를 보유한 국내 유일한 상장사다. 합성신약 후보물질 발굴 플랫폼 딥매처(DeepMatcher)와 암 특이항원(신생항원)을 예측하는 네오-에이알에스(NEO-ARS) 등 자체 개발한 AI 플랫폼을 통해 효율적인 신약개발에 기여하고 있다.​

 

#IDO와 TDO란

 

다수의 종양 세포에서 발견되는 단백질 효소다. 이 효소가 활성화되면 암 세포 내부의 면역억제 물질인 '키뉴레닌(kynurenine)'을 축적해 면역항암제의 치료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논문에 소개된 STB-C017 동물실험 결과

 

STB-C017이 대장암 세포주가 이식된 쥐 모델에 단독으로 경구 투여됐을 때 암 세포를 공격하는 면역세포인 'CD8+ T세포'의 종양 침윤이 증가했다. 면역 관련 유전자 발현 패턴의 변화도 유발됐다. 

 

#신테카바이오 측 입장

 

신테카바이오 측은 "STB-C017은 면역관문억제제 2종과 병용 투여되었을 때 종양의 면역 환경을 개선시키고, 투여 받은 쥐 중에서 60% 이상에서 완전관해를 유발시켜 면역관문억제제와의 병용 치료제로써의 잠재력을 보였다"고 밝혔다.

 

AI타임스 김동원 기자 goodtuna@aitimes.com

 

Copyright © '인공지능 전문미디어' AI타임스 (http://www.aitim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테카바이오, AI가 발굴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병용 치료제 잠재력 입증 - AI타임스

신테카바이오는 자사가 발굴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STB-C017\'의 동물실험 결과가 효능이 입증됐다고 7일 밝혔다.신테카바이오는 STB-017에 대해 동물실험을 진행한 결과 면역관문억제제 2종과

www.aitimes.com